본문바로가기 메인메뉴바로가기

주간농사정보

주간농사정보(2023. 11 27 ~ 2023. 12. 03)

작성자 : 농업기술원>기술지원국>기술보급과 기술보급과

작성일 : 2023-11-22

조회수 : 107

내용
벼 보급종은 품종과 특성을 미리알아보고 기간 내 신청하고, 맥류는 배수로 정비를 철저히 하고, 시설채소는 겨울철 환경관리와 딸기 생육관리에 유의하고, 과실 수확 후 저장고 관리에 유념하고 동계사료작물은 땅이 얼기전 눌러주어야 한다.

1. 벼농사
○ 2024년 사용할 볍씨는 지역 적응품종 중에서 수매 품종과 품종 특성을 고려하여 재배 안정성이 우수한 고품질 품종을 확보해야 한다.
○ 벼 보급종은 해당 지역에 공급되는 품종과 품종 특성을 미리 알아보고 기간 내에 시·군농업기술센터에 신청하도록 한다. 시도단위(읍면동) 신청기간은 11 .22. ~ 12. 20.까지이며 전국단위 신청시간은 2023년 1. 3. ~ 1. 28.까지이다. 공급시기는 2024년 1. 10. ~ 3. 31.까지이며 물량조정 및 추가 신청기간은 다소 변경될 수 있으며 신청기간, 품종 등 자세한 내용은 해당지역 국립종자원 지원에 문의하면 된다.

2. 밭작물
○ 맥류는 습해에 약한 작물이므로 배수로 정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. 논의 끝머리에 좌우로 배수로를 내고 배수로가 서로 연결되게 하여 배수구로 물이 잘 빠지도록 한다. 습해를 받은 포장은 겨울을 나는 동안에 추위에 견디는 힘이 약해지게 되어 동사하거나 말라 죽게 되므로 반드시 배수를 철저히 하여 서릿발 피해 및 습해를 막아주어야 한다. 늦게 파종한 지역은 퇴비나 볏짚 등 유기물을 피복해주며 복토를 충분히 하여 안전월동을 도모해 준다.

3. 채 소
○ 시설채소는 일교차에 의한 시설 내 안개가 발생하지 않도록 측창과 천창 개폐에 신경을 써서 생육 저하 및 생리장해 현상을 방지해야 한다. 작물별로 적온관리를 하되, 야간 최저온도를 과채류는 12℃이상,엽채류는 8℃이상 유지되도록 관리한다. 흐린 날이나 습한 날은 주는 관수량을 줄임, 관수용 물은 미리 받아 적정온도 유지
○ 병해충은 조기 예찰 및 발생 초기에 방제를 철저히 한다. 환기로 적정습도를 유지하고 병든 잎과 과실은 신속히 제거하며 초기 적용약제로 방제한다. 해충 발견 시 3~5일 간격 3회 정도 성분이 다른 약제 교호살포 또는 천적을 사용한다.
○ 딸기 생육관리는 낮에는 환기관리, 밤에는 철저한 보온 관리로 적온을 유지하고, 관수는 오전 10~12시 이전에 마무리하여 시설 내 과습 방지하고, 수분은 꿀벌의 활동 온도는 18~22℃이므로 시설 온도관리에 유의해야 하며, 탄산시비는 CO2 농도 1,500ppm 내에서는 농도가 증가할수록 효과가 증가 된다.

4. 과 수
○ 과실 저장고 온도는 과일 입고 1∼2일 전에 저온저장고를 목표 온도까지 떨어뜨린 후에 입고해야 과일 품온을 빨리 떨어뜨릴 수 있다. 저장 온도는 0∼-0.5℃ 범위를 권장한다.
○ 저장고 내 원활한 통풍을 위하여 팔레트와 벽면 사이에는 최소 20∼30cm, 천장 사이에는 최소 1m 이상의 공간을 두고 배치한다. 최대 적재량은 저장고 부피의 70∼80% 수준 유지한다.
○ 가습기를 설치하여 자동으로 습도를 조절하여 저장고 내 상대 습도약 90% 정도 유지한다. 상자 내 신문지, 유공비닐 사용 시 습도 유지에 효과적이다.
○ 저장고 내 환기창을 설치하여 주기적으로 환기(1주일에 1∼2회, 10분씩)를 시켜주어야 하며 환기창이 없을 경우에는 바깥 기온이 낮은 시간(야간 또는 새벽)에 저장고 문을 열어 환기한다.

5. 축 산
○ 동계사료작물은 땅이 얼기 전에 땅 눌러주기를 하면 생산량이 많아지는데, 땅을 눌러주면 토양수분을 보존하고 뿌리를 토양에 밀착해 겨울철에 마르거나 어는 피해를 줄일 수 있다.
○ 사료작물을 눌러주지 않아 겨울철에 마르거나 언 피해를 입으면 봄철 풀사료 생산성이 크게 떨어지므로, 특히 이탈리안라이그라스(IRG)는 뿌리가 땅 속 깊이 내려가지 않고 흙 표면에 넓게 퍼져서 자라기 때문에 반드시 눌러줘야 한다.

담당부서 : 기술보급과 055-254-1811